http://www.math.snu.ac.kr/board/files/attach/images/701/ff97c54e6e21a4ae39315f9a12b27314.png
Extra Form
Lecturer 계승혁
Dept. 서울대학교
date Jun 01, 2023

 

작용수대수에서 순서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. C*-대수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Gelfand-Naimark-Segal 표현정리는 양선형범함수로부터 *-준동형을 만들어내는데, 그 표현정리 이후 여러 가지 종류의 양사상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.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양자정보이론의 핵심 개념은 꼬임(enatnglement)인데, 선형사상과 텐서곱의 쌍대를 이용하면 이를 적절한 행렬대수 사이의 양사상들의 쌍대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.

이번 강의에서는 여러가지 양사상들 사이의 포함관계를 비롯하여 최근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몇몇 문제와 관련된 경험을 소개한다.

Atachment
Attachment '1'
  1. Regularity for non-uniformly elliptic problems

  2. From mirror symmetry to enumerative geometry

  3. Universality of log-correlated fields

  4. <학부생을 위한 ɛ 강연> 양자상태의 기하학

  5. Class field theory for 3-dimensional foliated dynamical systems

  6. Satellite operators on knot concordance

  7. 05Jun
    by 김수현
    in Math Colloquia

    <정년퇴임 기념강연> 작용소대수와 양자정보이론

  8. Entropy of symplectic automorphisms

  9. Equations defining algebraic curves and their tangent and secant varieties

  10. Descent in derived algebraic geometry

  11. Toward bridging a connection between machine learning and applied mathematics

  12. Vlasov-Maxwell equations and the Dynamics of Plasmas

  13. Study stochastic biochemical systems via their underlying network structures

  14. <학부생을 위한 ɛ 강연> 복잡한 생명현상을 위한 21세기 현미경, 수학!

  15. Birational Geometry of varieties with effective anti-canonical divisors

  16. Contact instantons and entanglement of Legendrian links

  17. <학부생을 위한 ɛ 강연> Self-Supervised Learning in Computer Vision

  18. <학부생을 위한 강연> 수학과 보험산업

  19. Counting number fields and its applications

  20. Towards Trustworthy Scientific Machine Learning: Theory, Algorithms, and Applications

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
/ 12